지적·공간정보 용어, 이제 쉬운 우리말로! 몰라서 헤맸던 지난날은 안녕!

지적·공간정보 용어, 이제 쉬운 우리말로! 몰라서 헤맸던 지난날은 안녕!

안녕하세요, 여러분! 혹시 ‘지적공부’나 ‘공유지연명부’ 같은 단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솔직히 저는 부동산 관련 일을 하면서도 헷갈릴 때가 많았어요. 😅 뭔가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용어들 때문에 괜히 행정 업무 보기가 꺼려지기도 했고요. 근데 있잖아요, 드디어! 드디어 이런 일본식 용어들이 쉬운 우리말로 바뀐다고 합니다! 야호! 🙌

이번 변화는 정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일제강점기부터 사용되던 어려운 용어들 때문에 국민들이 겪었던 불편함을 해소하고, 지적측량과 공간정보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아주 큰 결정을 내린 거죠. 3월 1일을 맞아 변경된 용어를 3월 4일 행정규칙으로 고시한다고 하니, 이제 우리도 좀 더 쉽고 편하게 토지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 같아요. 그럼, 어떤 용어들이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어렵고 낯설었던 용어들, 이제는 친근하게!

기존에 사용되던 용어들은 솔직히 일상생활에서 잘 쓰지 않는 단어들이 많아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특히 일본식 한자어는 더욱 그랬죠. 하지만 이제는 ‘지적공부’ 대신 ‘토지정보등록부’, ‘공유지연명부’ 대신 ‘공동소유자명부’처럼 훨씬 직관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기존 용어 (일본식 한자어)새로운 용어 (쉬운 우리말)바뀌는 이유 및 해설
지적공부(地籍公簿)토지정보등록부토지의 위치, 지번, 용도, 소유자 등을 기록해 공적으로 증명하는 장부
공유지연명부(共有地連名簿)공동소유자명부2인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한 토지를 관리하는 장부로 명확화
수치지적(數値地籍)좌표지적토지의 경계점을 수치(X, Y 좌표)로 등록하는 개념을 반영
도해지적(圖解地籍)도면지적토지 경계를 도면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명확하게 설명
지적소관청(地籍所管廳)토지정보관리청지적공부를 관리하는 기관의 역할을 쉽게 전달
교차(較差)관측차측량 시 반복 측정 값의 차이를 쉽게 표현
국지측량(局地測量)소지역측량, 평면측량국지(局地)라는 어려운 한자를 쉽게 풀어 표현
기지(점) 사핵(旣知査覈)현장경계확인측량 시 기존 경계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
기지경계선(旣知境界線)확인경계선기존 경계를 확인하는 선이라는 의미를 명확히 함
기지점(旣知點)아는점측량 시행 전에 위치 정보를 알고 있는 점
기차(氣差)빛굴절오차대기 중 빛이 굴절되어 발생하는 측량 오차
도곽선(圖廓線)도면구획선지적도면의 윤곽을 일정 간격으로 구획한 선
미지점(未知點)모르는점측량 시행 전에 위치 정보를 모르는 점
배각법(倍角法)반복 각측정법같은 각을 여러 번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식
보점(補点)보조점측량 시 기준점 보조용으로 사용되는 점
부합(符合)일치도면상 경계와 실제 경계가 맞는 것을 직관적으로 표현
사거리(斜距離)경사거리, 비탈거리경사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변경
소구점(所求㸃)구하는점측량을 통해 위치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점
실지조사(實地調査)현지조사, 현장조사토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 조사
일람도(一覽圖)총괄도, 전체도전체 지형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도면
잡종지(雜種地)기타 토지특정 용도에 속하지 않는 토지를 쉽게 구분
전개(展開)좌표 표시도면 위에 X, Y 좌표를 활용해 위치를 나타내는 작업
전시점(前視點)앞관측점측량 시 앞쪽에서 관측하는 점
지구계선(地區界線)사업지구외곽선사업지구 내·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
측각(測角)각측정수평각·연직각 등 각도를 측정하는 개념
측량현형파일(測量現形 file)측량파일측량 데이터를 전자문서로 관리하는 개념
측점(測點)관측점측량을 위해 지표면에 설정하는 점
타점(打點)측정점측량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
토지(의)이동(土地異動)토지정보변동토지 정보가 변경·등록·말소되는 행위를 쉽게 전달
토지(의)표시(土地表示)토지정보등록토지 소재, 지번, 지목, 면적 등을 등록하는 개념
후시점(後視點)뒤관측점측량할 때 뒤쪽에서 관측하는 점

왜 용어를 바꿔야 했을까?

왜 용어를 바꿔야 했을까?

솔직히 말해서, 기존 용어들은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려웠어요. ‘지적공부(地籍公簿)’라는 용어만 봐도, 토지 정보를 기록하는 장부라는 건 알겠지만 ‘공부(公簿)’라는 표현 자체가 익숙하지 않잖아요.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거 아니죠? 😅

이렇게 어려운 용어들 때문에 지적측량이나 공간정보 관련 업무를 처리할 때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고 해요. 하지만 이제는 용어가 쉬워지면서 업무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

국가기술자격 시험과 교과서에도 적용!

이번 용어 변경은 단순히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어요. 변경된 용어는 국가기술자격 시험과 교과서에도 적용될 예정이라고 하니, 앞으로 자라나는 학생들이 지적 및 공간정보 분야를 더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겠죠?

저도 학창 시절에 이런 용어들 때문에 머리 아팠던 기억이 있는데… 😭 그때 이런 쉬운 용어들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까?

이번에 변경된 용어들은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에요. 우선 공간정보관리법 개정을 통해 법률 용어에 반영될 것이고요, 국가기술자격 시험과 교과서에도 적용되어 교육 현장에서도 적극 활용될 것입니다. 또한, 대학생이나 청년들을 대상으로 홍보 활동도 진행한다고 하니, 더 많은 사람들이 변경된 용어를 접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 같아요.

무엇보다 이번 용어 개편으로 인해 국민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적행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이제 더 이상 어려운 용어 때문에 헤매는 일은 없을 거예요! 😉

토지정보등록부
토지의 위치, 지번, 용도, 소유자 등을 기록한 장부
주요 정보: 지번, 지목, 면적, 소유자 정보
공동소유자명부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한 토지를 관리하는 장부
주요 정보: 공유자 정보, 지분 비율
좌표지적
토지의 경계점을 X, Y 좌표로 등록하는 방식
주요 정보: 경계점 좌표, 면적

자주 묻는 질문 (FAQ) ❓

자주 묻는 질문 (FAQ) ❓

왜 지적·공간정보 용어를 변경하게 되었나요?

기존 용어가 일본식 한자어가 많아 국민들이 이해하기 어렵고, 지적측량 및 공간정보 관련 업무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용어들이 변경되었나요?

‘지적공부’는 ‘토지정보등록부’로, ‘공유지연명부’는 ‘공동소유자명부’로, ‘수치지적’은 ‘좌표지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31개의 용어가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되나요?

2024년 3월 4일 행정규칙 고시 이후부터 사용됩니다.

변경된 용어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관련 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용어 변경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국민들이 지적 및 공간정보 관련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하고, 관련 업무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 오늘은 이렇게 지적·공간정보 분야의 용어 변경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어떠셨나요? 이제 어렵고 낯설었던 용어들 때문에 더 이상 스트레스받지 마시고, 쉽고 편리하게 바뀐 용어들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

솔직히 이번 용어 변경은 정말 칭찬해 줄 만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국민들이 더 쉽고 편리하게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이런 긍정적인 변화가 계속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그럼, 다음번에는 더 유익하고 재미있는 소식으로 돌아올게요! 그때까지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안녕! 👋


숨은 복지 지원금
지금 클릭으로 찾으세요!

몰라서 못 받은 지원금, 신청 안 하면 소멸됩니다!
지금 클릭 한 번으로 내 돈 찾아가세요!

복지 지원금 확인하기